pISSN: 2287-5417 / e-ISSN: 2799-6182

한국자연치유학회지 (2023)
pp.45~55

DOI : 10.33562/JN.2023.12.2.002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의 음악적 자기돌봄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임유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심리재활학과)

문소영

(명지대학교 음악치료학과 교수)

배경: 음악적 자기돌봄 프로그램은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의 신체적,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목적: 이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의 음악적 자기돌봄의 경험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방법: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 4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5 회기의 음악적 자기돌봄 프로그램과 1회기의 심층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음악적 자기돌봄 프로그램과 심층 면담의 전 회기를 녹취하여 전사 자료로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집합적 사례연구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 출하였다. 결과: 음악적 자기돌봄을 경험한 연구참여자들의 돌봄 경험을 크게 두 가지의 관점으로 확인하였다. 첫번째는 돌봄 과정에서의 성찰, 두 번째 결과는 돌봄 과정에서의 음악 활용의 유익함이다. 결과를 통해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의 자기돌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자기돌봄의 다양한 방식 중 음악을 활용한 자기돌봄 과정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음악적 자기돌봄 과정에서 음악의 개입이 개인의 자기성찰과 자기수용을 바탕으로 하며 동료 간의 소통을 통해 심리적 보상을 얻고, 심리적 회복을 도와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에게 음악적 자기돌봄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사회복지 현장에서 적용되는 사례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A Case Study on the Musical Self-Care Experiences of Caretakers in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Yu jin Lim

So young Moon

Background: A musical self-care program can be used to prev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social workers at child care facilities experience and mean by musical self-care, and what the benefits of using music are in self-care cases.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and explored. Five sessions of a musical self-care program and one session of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child care facility social workers from April 2022 to June 2022, and the data were analyzed as a collective case study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The musical self-car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sed into two major perspectives. The first is reflection in the care process. The second result is the benefit of using music in the care process. The need for self-care by social workers at child care facilities was confirmed, and that among various methods of self-care, the self-care process using music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musical self-care process, the intervention of music is based on the individual's self-reflection and self-acceptance, obtains psychological reward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colleagues, helps psychological recovery, and forms a cooperative relationship.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for musical self-care for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provides implications that examples of its application in social welfare settings are important.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보호정책]
서울 성동구 독서당로59길84 신동아아파트 상가 101호(행당동)      TEL 02) 2299-3118      PHONE 010-7774-3118      ksn9988@nate.com
Copyright 2016 Korean Societty for Naturopathy, All Right reserved.